집값을 7배 폭등시켰다가 결국 경제가 붕괴된 튀르키예 (박종훈의 지식한방)

집값을 7배 폭등시켰다가 결국 경제가 붕괴된 튀르키예 (박종훈의 지식한방)

간략한 요약

이 영상은 최근 집값이 7배나 폭등한 튀르키예의 사례를 통해 부동산 투자와 통화 가치, 경제 정책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한국 부동산 시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합니다.

  • 튀르키예의 집값 폭등은 과도한 통화량 증가와 에르도안 대통령의 금리 인하 정책 때문이었습니다.
  • 리라화 가치 폭락으로 인해 달러 투자 수익률이 부동산 투자 수익률을 훨씬 상회했습니다.
  • 한국의 경우, 원화 가치 하락으로 인해 달러 환산 시 집값 상승률이 미미하거나 오히려 하락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집값 7배 폭등한 튀르키예

최근 튀르키예의 전국 집값이 7배, 수도 앙카라의 집값은 12배나 폭등했습니다. 그러나 튀르키예 리라화 가치가 폭락하여 2015년 1달러당 2.1리라였던 환율이 현재 40리라까지 치솟았습니다. 이는 리라화 가치가 휴지 조각이 된 것과 마찬가지이며, 튀르키예에 부동산을 샀다면 원금이 1/20 토막이 났을 것입니다.

돈의 홍수와 집값 폭등

튀르키예 집값 폭등의 근본적인 원인은 돈의 홍수 때문입니다. 10년 만에 통화량이 20배 가까이 증가하면서 리라화 가치가 폭락했고, 제한적인 주택 공급량으로는 늘어난 통화량을 감당할 수 없었습니다. 집값을 좌우하는 것은 공급량이 아니라 통화량이라는 점을 강조합니다.

에르도안의 금리 인하 정책

에르도안 대통령은 2023년 대선을 앞두고 지지율 하락을 막기 위해 금리 인하 정책을 추진했습니다. 중앙은행을 압박하여 금리를 대폭 낮추고 돈을 풀었고, 그 결과 자산 가격이 급등하고 경기가 회복되어 대선에서 승리했습니다. 그러나 대선 직후 물가 상승률이 85%에 달하는 등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했습니다.

중앙은행 총재 해임 사태

에르도안 대통령은 금리 인하에 반대하는 중앙은행 총재들을 해임하고 자신의 말을 잘 듣는 인물로 교체했습니다. 이러한 독단적인 정책 추진으로 인해 집값이 폭등하고 통화 가치가 폭락하는 결과를 초래했습니다. 달러로 환산한 튀르키예 집값은 60%나 하락했습니다.

달러 예금 vs 주택 구입

튀르키예 국민 입장에서 달러 예금과 주택 구입 중 어느 것이 더 유리했을까요? 달러 예금은 환차익만으로 20배의 수익을 올릴 수 있었던 반면, 주택 구입은 아무리 많이 올라도 달러 가치 하락으로 인해 손해를 봤을 가능성이 큽니다. 하지만 튀르키예 은행의 달러 금리가 낮고 환전 수수료가 높아 일반 국민들의 달러 투자는 어려웠습니다.

서울 집값의 현주소

현재 튀르키예의 상황이 서울 집값과 유사하게 흘러가고 있다는 점을 지적합니다. 2018년 1월부터 전국 집값은 7% 상승에 그쳤고, 강남 집값은 22% 상승했지만, 달러 환산 시 전국 집값은 15% 하락했습니다. 이는 원화 가치 하락으로 인해 외국인들이 한국 집값을 싸게 느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튀르키예의 살인적인 물가

튀르키예는 살인적인 물가 상승으로 인해 국민들이 큰 고통을 받고 있습니다. 지난 10년간 물가가 12배나 올랐고, 월세와 식료품비 부담이 커지면서 빈곤층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공식 인플레이션율은 40%대이지만, 경제학자들은 실제 인플레이션율이 80%에 달한다고 주장합니다.

외국인 주택 매수 증가와 집값 하락

리라화 가치 하락으로 인해 튀르키예 집값이 외국인들에게는 매우 저렴하게 느껴졌고, 2016년부터 2022년까지 외국인 주택 소유자 비중이 3배나 증가했습니다. 그러나 2024년에는 외국인들이 이득을 보고 빠져나가면서 집값 상승세가 둔화되고 실질 가격이 하락하기 시작했습니다.

저출산 문제 심화

튀르키예는 심각한 저출산 문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2015년 2.1명이었던 합계출산율이 2024년에는 1.48명으로 급감했습니다. 이는 집값 폭등으로 인해 청년들이 결혼과 출산을 포기하는 현상이 심화되었기 때문입니다. 튀르키예는 무슬림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저출산 순위가 무슬림 국가 중 최하위권에 속합니다.

결론 및 향후 전망

튀르키예 사례를 통해 집값이 폭등하는 나라에서조차 달러 투자가 더 유리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한국 역시 원화 가치 하락으로 인해 부동산에 올인하는 것이 위험할 수 있으며, 성장률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경고합니다. 다음 영상에서는 한국 부동산 시장의 미래에 대해 더 자세히 다룰 예정입니다.

Watch the Video

Share

Stay Informed with Quality Articles

Discover curated summaries and insights from across the web. Save time while staying informed.

© 2024 BriefR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