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평가 주식으로 돈 버는 가치투자자라면 PER, PBR, ROE 지표는 꼭! 보세요|주식 초보를 위한 가치투자 용어 총정리|신화!머니? EP.21

저평가 주식으로 돈 버는 가치투자자라면 PER, PBR, ROE 지표는 꼭! 보세요|주식 초보를 위한 가치투자 용어 총정리|신화!머니? EP.21

간략 요약

본 영상은 재무제표를 활용한 가치 투자 방법을 설명하며, 핵심 지표인 ROE, EPS와 PER, PBR을 분석하여 저평가된 주식을 찾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 ROE는 자기자본이익률로, 회사가 가진 자본 대비 수익 창출 능력을 나타냅니다.
  • EPS와 PER은 주가와 수익의 관계를 보여주는 지표로, PER은 주가가 기업 이익에 비해 어느 수준인지 평가합니다.
  • PBR은 주가순자산비율로, 주가를 주당 자산가치로 나눈 값이며, 회사의 재무 상태 대비 주가 수준을 나타냅니다.

재무제표로 가치투자하기📈

가치 투자는 기업 가치에 비해 저평가된 주식에 투자하는 방식으로, 재무제표의 숫자를 통해 적정 주가를 판단하고 저평가된 주식을 매수하여 시세차익을 얻는 전략입니다. 주가는 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기업 가치와 다르게 움직일 수 있으므로, 재무제표 분석을 통해 기업의 실제 가치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ROE, EPS와 PER, PBR 등의 지표를 활용합니다.

ROE

ROE(자기자본이익률)는 회사가 가진 자본으로 얼마나 많은 이익을 내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ROE가 높을수록 이익 창출 능력이 강하고 효율적으로 자본을 운용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기업이 이익을 많이 내면 주주에게 배당하거나 투자, 사내 유보금으로 활용되어 향후 기업 가치 상승 가능성을 높입니다. ROE를 볼 때는 영업 외 수익이나 손실, 자기자본 변동(부채 투자, 배당 등)을 함께 고려해야 하며, 주가가 고평가되었는지 판단하기 위해 다른 지표와 함께 분석해야 합니다.

EPS와 PER

EPS(주당순이익)는 주식 한 주가 1년간 벌어들이는 순이익금을 의미하며, PER(주가수익비율)은 기업의 시가총액을 당기순이익으로 나눈 값으로, 주가가 기업 이익에 비해 어느 수준인지를 나타냅니다. PER이 낮을수록 주가가 저평가되었다고 볼 수 있지만, 낮은 PER 때문에 주가가 오르지 않는 "밸류 트랩"에 빠질 수도 있습니다. PER은 산업군, 기업 성격에 따라 평균치가 다르므로 동일 업종 평균치와 비교해야 하며, 1년 후 예상 실적에 대한 예상 수치를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PBR

PBR(주가순자산비율)은 주가를 주당 자산가치로 나눈 값으로, 주가가 회사가 가진 자산에 비해 몇 배나 되는지를 나타냅니다. PER이 기업 수익성으로 주가를 판단하는 척도라면, PBR은 재무 내용과 비교하여 주가를 판단하는 기준입니다. PBR이 1이라는 것은 기업이 가진 자산을 모두 팔았을 때 투자금만큼 회수할 수 있다는 의미이며, PBR이 낮을수록 재무 상태에 비해 주가가 낮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BR은 주가 하락 시 바닥을 가늠하는 데 유용하지만, 감가상각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Watch the Video

Share

Stay Informed with Quality Articles

Discover curated summaries and insights from across the web. Save time while staying informed.

© 2024 BriefR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