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략한 요약
이 비디오는 아이들의 감정 표현 부족과 어른들의 감정 코칭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아이들은 감정을 억압받고 흥분제에 노출되어 감정 표현이 미숙해지며, 이는 문제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어른들은 아이의 감정을 수용하되 행동에는 한계를 설정하고, 자신의 감정을 먼저 이해하고 조절해야 합니다. 또한, 욱하는 감정을 다스리기 위해 6초 동안 심호흡하는 방법이 제시됩니다.
- 아이들의 감정 표현 부족은 어른들의 감정 억압과 흥분제 노출 때문입니다.
- 감정은 수용하되 행동에는 한계를 설정해야 합니다.
- 어른은 자신의 감정을 먼저 이해하고 조절해야 합니다.
- 욱하는 감정을 다스리기 위해 6초 동안 심호흡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아이들의 감정 표현의 빈곤
아이들은 감정 표현에 어려움을 겪으며, '좋아요', '나빠요', '몰라요'와 같은 단순한 답변만 합니다. 이는 아이들이 하루 종일 공부에 억압되고 과자, 설탕, 콜라, 카페인과 같은 흥분제에 노출되기 때문입니다. 아이들은 브레이크와 액셀러레이터를 동시에 밟는 자동차와 같이 에너지를 낭비하고 엔진이 망가지는 것과 같습니다. 이러한 감정 상태를 무시하면 문제 행동이 증가하고 아이의 성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감정 수용과 행동 교정의 균형
아이들의 감정 분출을 억압하기보다는 수용해야 합니다. 감정은 옳고 그름이 없지만, 감정에서 비롯되는 행동에는 한계를 설정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화가 나는 감정은 당연하지만, 폭력적인 행동은 옳지 않습니다. 아이에게 화가 났음을 표현하되, 적절한 방법으로 감정을 표현하도록 지도해야 합니다. 감정은 수용하되 행동은 교정하고, 아이에게 유연성과 선택의 여지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어른의 감정 코칭
아이의 감정 코칭에 앞서 어른, 특히 부모가 자신의 감정을 먼저 알고 조절해야 합니다. 아이가 화를 낼 때 어른들은 다양한 반응을 보일 수 있는데, 자신의 감정을 먼저 알아차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정에 대한 감정, 즉 메타 감정을 점검하고 이해하면 아이의 감정에 대해 더 편안하고 균형 잡힌 시각을 가질 수 있습니다.
초감정의 이해
아이가 밥을 먹지 않는 상황에서 엄마의 안타까움, 아빠의 분노, 그리고 엄마의 섭섭함과 같은 복잡한 감정들이 얽혀 있습니다. 엄마는 과거 유산 경험으로 인해 아이를 잘 키우고 싶은 간절함이 있었고, 아빠는 가난한 어린 시절 경험으로 인해 강하게 키우고 싶은 마음이 있었습니다. 엄마는 과거 유산 당시 아빠가 자신을 돌봐주지 않았던 것에 대한 섭섭함이 남아 있었습니다. 이처럼 감정에 대한 감정, 즉 초감정을 이해하면 서로를 더 깊이 연결하고 아이를 더 잘 키울 수 있습니다.
초감정으로의 접근
감정적 행동에 감정적으로 대응하지 말고, 어떤 기분이 드는지 질문하고 감정을 설명하도록 유도해야 합니다. 아이는 부모의 초감정을 모른 채 죄책감과 두려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부모가 자신의 초감정을 모르면 아이에게 상처를 줄 수 있고, 가정 내 스트레스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욱하는 감정 다스리기
하버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72년간 추적 연구한 결과, 성공하고 행복한 사람들의 공통점은 욱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욱하는 감정을 다스리기 위해서는 자극을 받았을 때 즉각적으로 반응하지 않고, 6초 동안 뜸을 들여야 합니다. 6초 동안 심장에 집중하여 천천히 심호흡하면 스트레스가 중화되고 감정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심호흡은 운동선수나 가수들도 사용하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존중하지 않는 대상에게는 욱하는 감정을 참지 못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상대를 존중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