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이 비디오는 엔도 슈사쿠의 "예수의 생애"를 바탕으로 예수의 삶과 그 시대적 배경, 그리고 그가 전한 사랑의 의미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예수가 민중에게 어떤 존재였는지, 그의 가르침이 어떻게 제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는지, 그리고 그의 죽음과 부활이 기독교 형성에 어떤 역할을 했는지 심층적으로 분석합니다.
- 예수의 인간적인 면모와 그가 겪었던 고통을 강조합니다.
- 당시의 정치적, 사회적 상황이 예수의 삶과 가르침에 미친 영향을 설명합니다.
- 예수의 사랑이 단순한 감정을 넘어 사회를 변화시키는 힘을 가질 수 있음을 제시합니다.
오프닝
예수는 메시아라는 흔적 없이 인간적인 사람이었고, 고통받는 사람들을 보며 아픔을 느꼈습니다. "예수의 생애" 2부에서는 예수의 공생애 시작 직전까지의 이야기를 다루며, 엔도 슈사쿠의 책을 통해 이후의 이야기를 살펴봅니다.
시대적 배경
예수가 40일간의 기도를 마치고 돌아왔을 때, 예루살렘의 기득권 세력인 사두개파와 바리사이파는 유다 광야의 움직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었습니다. 그들은 자신들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반란의 조짐을 경계하며, 로마 총독의 개입을 두려워했습니다. 세례자 요한 주변에 모인 군중들은 반로마적 성향을 띠고 있었고, 유다의 독립과 종교적 열망을 품고 있었습니다. 예루살렘에서는 공동 조사단을 파견하여 요한을 감시하고, 예수가 메시아인지 확인하려 했습니다. 갈릴리 사람들은 반로마적 기질이 강했고, 열혈당원들이 요한에게 참여하면서 예수를 주목하기 시작했습니다. 사람들은 예수를 정치적 지도자이자 유대교 개혁가로 기대하며, 오해가 시작되었습니다. 유다 이스카리옷은 예수를 정치적 지도자로 강력히 희망했고, 예수 주변에는 동향 그룹이 형성되었습니다. 예수는 제자들을 데리고 유다 광야로 떠났고, 예루살렘에서는 예수 주변의 움직임을 계속해서 감시했습니다. 초기 복음서는 예수의 초기 활동을 잘 언급하지 않는데, 이는 당시의 정치적 상황과 관련이 있습니다. 마가복음은 유다가 멸망한 후에 쓰여졌으며, 예수의 초기 활동이 반로마적 성향을 띨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여 기록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예수는 고향으로 돌아와 어머니와 만나고, 가나의 결혼식에 참석하여 물을 포도주로 바꾸는 기적을 행합니다. 요한복음은 유다 광야와 갈릴리오스 주변의 분위기를 대비시키며, 예수의 따뜻한 인정과 사랑을 강조합니다. 예수는 혼인을 축하하며 술을 마시는 등 인간들과 어울리는 모습을 보였고, 이는 하나님의 분노만을 외치는 요한과 대비됩니다. 예수는 제자들이 가진 세속적인 꿈을 성화시키려 했고, 변화를 통해 제자들을 변화시키려 했습니다. 분봉왕 헤로데 안티파스는 요한을 체포하고, 이는 요한이 헤로데의 사생활을 비판했기 때문입니다. 예수는 요한의 죽음 소식을 듣고, 지도자가 민중에게 끌려가는 현상을 깨닫게 됩니다. 이후 예수는 제자들과의 관계에서 신중한 태도를 보이며, 민중의 의도에 휘말리지 않으려 노력합니다.
엔도 슈사쿠의 예수
엔도 슈사쿠는 신화 속 예수와 역사 속 예수를 분리하지 않고, 당시 사람들의 요구와 열망에 주목합니다. 성경을 읽는 이유는 더 나은 삶을 살기 위한 것이며, 예수의 생애를 통해 자신의 삶을 투영해 볼 수 있습니다. 엔도는 예수의 인간적인 부분들을 부각하려 했고, 그 과정에서 역사적 배경과 정치적 상황이 예수의 사랑에 영향을 미쳤음을 강조합니다. 예수는 자신을 배반한 제자들을 용서하며, 인간적인 고뇌를 드러냅니다. 엔도는 예수의 삶을 통해 답답하고 힘든 상황에서 해결책을 찾을 수 있다고 제시합니다. 엔도는 일본의 가톨릭 신자로서,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예수의 삶을 자기만의 시각으로 바라봅니다.
사랑의 예수
예수는 사마리아를 지나며 제자들에게 사랑을 보여주려 했습니다. 사마리아 사람들을 경멸하지 않고 다가가 사랑하는 모습을 통해, 외형적인 것에 집착하지 않는 순고한 사랑을 보여주려 했습니다. 예수는 사마리아 여인에게 예루살렘이 아닌 곳에서도 예배를 드릴 수 있다고 말하며, 외형적인 건물이나 혈통이 아닌 보편적인 사랑의 하나님을 선언합니다. 초기 예수 활동은 로마의 유대 진압 시기에 기록되었기 때문에, 유대 반란의 모태가 된 열심당이나 민족주의 운동과의 연관성을 배제하려 했습니다. 예수는 나병 환자를 구원하고, 민족을 이유로 배척하지 않았습니다. 예수는 어려운 사람들을 찾아가 위로하고, 율법보다 사랑을 우선시했습니다. 사람들은 눈에 보이는 효과를 원하지만, 예수는 눈에 보이지 않는 사랑을 전하려 했습니다. 예수는 표적과 기적을 원하는 사람들에게 실망감을 안겨주기도 했지만, 그의 사랑은 사회를 변화시키는 힘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마지막 만찬
최후의 만찬에서 예수는 정치적 메시아를 거부하고, 빵과 포도주를 자신의 몸과 피로 나누어주며, 자신의 죽음을 예고하고, 유다와 베드로의 배신을 예고합니다. 이는 사람들의 기대와는 다른 행동이었고, 예수는 자신이 죽더라도 영원히 인간의 동반자임을 선언합니다. 예수는 빵과 포도주를 통해 신의 사랑을 증명하려 했고, 이는 기독교에서 가장 중요한 의식인 성찬식으로 이어집니다. 유다는 예수를 배신하고, 군중들은 예수가 자신들의 기대를 배반했다는 것을 알아차립니다. 예수는 이단 발언을 했다는 죄목으로 체포되고, 밤에 재판을 받습니다. 분노한 군중들은 예수를 죽이라고 외치고, 빌라도는 군중들에게 책임을 떠넘깁니다. 예수는 십자가를 짊어지고 골고다로 끌려가고, 정치범들과 함께 매달립니다. 예수는 십자가 위에서 침묵을 지키고, 오로지 사랑만을 전하려 합니다. 부활은 비겁한 제자들을 굳건한 사도로 만들었고, 그리스도교 공동체를 형성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예수는 성부, 성자, 성령 삼위일체로 승격되고, 그의 인성을 강조했던 아리우스파는 이단으로 취급받습니다. 부활은 예수의 생애를 설명하는 핵심 키워드이며, 인간의 삶은 사실이나 실제만으로 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영혼이 추구하는 진실의 세계에 의해 규정됩니다. 작가는 성경에 나오는 예수의 탄생과 부활을 진실로서 인정하며, 환상이 현실보다 더 강력할 때가 있음을 강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