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략한 요약
본 영상은 안중근 의사의 생애와 업적, 그리고 그의 가족사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안중근 의사의 출생과 성장 과정, 독립운동 활동, 이토 히로부미 저격 사건, 그리고 그의 사상과 유언을 살펴봅니다. 또한, 안중근 의사 집안의 독립운동 공헌과 그 의미를 강조합니다.
- 안중근 의사의 생애와 독립운동
- 이토 히로부미 저격 사건의 배경과 의미
- 안중근 의사의 사상과 유언
- 안중근 의사 집안의 독립운동 공헌
소개
윤의 뷰티 채널의 윤은재는 안중근 의사에 대해 이야기하며, 그를 단순한 이토 히로부미 저격 의사뿐 아니라 독립운동가, 의병장으로 기억해야 한다고 소개합니다. 안중근 의사 기념관과 사형 직전의 사진을 보여주며, 그의 삶과 관련된 역사적 배경을 설명할 것을 예고합니다.
역사적 배경
1854년 일본은 미국에 의해 개항되고 서구 문물을 받아들이며 근대화되었고, 중국은 아편 전쟁을 통해 근대화되었습니다. 한국은 일본에 의해 강화도 조약부터 개항이 시작되어 임오군란, 을미사변, 을사늑약, 고종 폐위, 한일병합조약 등을 겪으며 일제강점기가 시작되었습니다. 이러한 시기에도 한국에는 독립운동가들이 있었고, 그중 안중근 의사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안중근 의사의 생애 초기
안중근 의사는 1879년 9월 29일 황해도 해주에서 무인 집안의 유복한 가정에서 태어났습니다. 어릴 적 이름은 안응칠이었는데, 이는 배에 일곱 개의 점이 있어 북두칠성의 기운을 받고 태어났다는 의미입니다. 1894년 16세에 결혼하였고, 동학운동 당시 아버지와 함께 동학군을 진압했습니다. 1895년에는 천주교에 입교하여 세례명 토마스를 받았으며, 신식 학문을 익히면서 사상이 바뀌었습니다.
독립운동의 시작
1904년 러일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하자 안중근 의사는 외국에서 독립운동을 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고 상해로 떠났지만 뜻 맞는 사람을 찾지 못해 돌아왔습니다. 이후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1906년에 진남포 석탄 상회를 경영하며 독립운동을 위한 인재 양성을 결심하고, 가족들의 동의를 얻어 가산을 정리하여 학교를 세웠습니다. 진남포 동의학교를 인수하여 군사 훈련을 하고, 삼흥학교를 설립하여 영어 교육을 실시하며 인재 양성에 힘썼습니다.
의병 활동과 단지 동맹
1907년 헤이그 특사 사건 이후 고종이 강제로 폐위되자, 안중근 의사는 직접적인 행동을 하는 독립운동을 해야겠다고 결심하고 연해주로 갔습니다. 연해주에서 뜻 맞는 사람들을 모아 독립운동을 시작하여 대한의군 참모중장이 되었고, 1908년에는 일본 정찰대를 공격하여 1, 2차에서는 승리했지만 3차에서는 패했습니다. 1909년 3월, 다시 뜻 맞는 12명의 동지를 모아 단지 동맹을 결성하고 이완용과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하기로 결의했습니다.
이토 히로부미 저격
1909년 9월, 안중근 의사는 신문 기사를 통해 이토 히로부미가 하얼빈에 도착한다는 정보를 입수하고 1909년 10월 26일 9시 30분에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했습니다. 그는 이토 히로부미를 동양 평화를 깨는 원흉으로 여겼으며, 자신의 행위를 독립운동으로 정당화했습니다. 이토 히로부미는 1841년에 태어나 1909년 10월 26일에 사망했습니다.
재판과 사형
이토 히로부미 암살 사건은 일본 점령지인 뤼순 지역에서 재판이 진행되었으며, 안중근 의사는 뤼순 형무소에 수감되었습니다. 1910년 2월 14일 사형이 구형되었고, 3월 26일 10시에 사형이 집행되었습니다. 안중근 의사는 사형을 늦춰 동양 평화론을 완성하려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했습니다. 어머니는 아들에게 삶을 구걸하지 말고 죽음을 잘 맞이하라는 편지를 보냈습니다.
유언과 가족
안중근 의사의 유언은 자신의 시신을 하얼빈에 묻었다가 한국이 독립되면 고국에 묻어달라는 것이었지만, 일본인들에 의해 지켜지지 못했습니다. 안중근 의사는 가족 사진을 품고 있었으며, 나라를 우선으로 생각하는 그의 깊은 뜻을 기려야 합니다. 하얼빈 역에는 안중근 의사 기념관이 있으며, 그곳에 그의 흉상이 있습니다.
안중근 의사 집안의 독립운동
안중근 의사 집안은 건국훈장을 15명이나 받은 독립운동 가문입니다. 아버지 안태훈은 안중근 의사의 사고방식에 큰 영향을 주었고, 어머니 조마리아는 아들의 독립운동을 적극적으로 지지했습니다. 형제인 안정근과 안공근 역시 독립운동에 헌신했습니다. 안중근 의사의 삶은 개인의 영웅적인 행위뿐 아니라, 집안 전체의 헌신적인 독립운동 정신을 보여줍니다.
결론
안중근 의사의 삶과 업적, 그리고 그의 가족사를 통해 우리는 내면적인 아름다움을 배우고, 그 정신을 기려야 합니다.